전체 글167 아두이노로 만든 작품 소개 - 두드리면 색이 변하는 무드등 17년도부터 아두이노와 여러 센서들을 활용하여 여러 작품들을 만들었습니다. 지금까지 제가 만든 작품들을 앞으로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저는 비록 전자과에 입학하기는 했지만 입학할 당시 전자공학이 무엇인지도 몰랐고 더더욱 아두이노, 코딩에 대해서는 아무런 지식도 없었습니다. 아무런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선배와 팀을 꾸려 두드리면 색이 변하는 무드 등이라는 작품을 만들었습니다. 사실 저는 그 당시 보조 역할만 하였습니다. 하하... 그래도 첫 작품으로 소개 드리려고 합니다. https://youtu.be/kjQ1vqL8PDI 위의 링크는 제가 만든 작품의 유튜브 동영상 링크입니다. 두드리면 색이 변하는 무드 등을 만들기 위해서 필요한 센서는 피에조 진동 감지 센서, 네오 픽셀 두 가지입니다. 정말 심플하죠?.. 2020. 2. 19. SAMR34_Xplained 회로도 설명 (4-2. EFM32hg210 마이크로컨트롤러설명) 이번 시간은 SAMR34_Xplained 회로도 설명에 대한 마지막 글이 되겠습니다.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EFM32hg210 마이크로컨트롤러(MCU)의 기능들에 대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Analog Interface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Analog to Digital Converter (ADC) : 초당 최대 100만 개의 샘플에서 최대 12비트의 분해능을 갖는 SAR(Accessive Approximation Register) 아키텍처입니다. -Current Digital to Analog Converter (IDAC): 핀 이나 ADC에서 출력하고 싱크 할 수 있는 구성 가능한 정전류를 발생시키거나 싱크 할 수 있습니다. 전류는 다양한 스텝 크기의 여러 범위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 2020. 2. 18. SAMR34_Xplained 회로도 설명 (4-1. EFM32hg210 마이크로컨트롤러설명) 이제 SAMR34_Xplained 회로도 설명의 마지막 파트입니다. 핵심 부품인 EFM32hg210 MCU(마이크로컨트롤러)에 대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마이크로컨트롤러(MCU)란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입 · 출력 모듈을 하나의 칩으로 만들어져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를 말합니다. CPU 코어, 메모리 그리고 프로그램 가능한 입/출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MCU는 임베디드 시스템에 널리 사용됩니다. 개인 PC가 다양한 요구에 따라 동작하는 일반적인 일에 사용된다면, MCU는 기능을 설정하고 정해진 일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장치 등에 장착되어 동작합니다. 위의 그림을 보면 EFM32는 마이크로컨트롤러로 여러 기능들을 가지고 여러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같은 속성의 .. 2020. 2. 18. SAMR34_Xplained 회로도 설명 (3.MIC23031 레귤레이터, SI7201 홀센서 설명) 이번 시간에는 MIC23031 (Buck regulator), SI7201(Switch/Latch Hall Effect Magnetic Position Sensor) 에 대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Buck regulator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사실 Buck regulator에 대한 정보가 사실 잘 나오지 않아서 정확한 동작 원리는 알기 힘들지만 레귤레이터의 일종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특징으로는 동작 전압은 2.7V에서 5.5V 사이이며 0.4A가 출력 전류로 나옵니다. 위의 그래프는 데이터 시트에 있는 자료를 따온 것입니다. 첫 번째 그래프를 보면 2.7V에서 5.7V로 입력 전압을 변화시킬 때의 출력전압 값에 대한 그래프인데 1.78V에서 1.81V 사이의 전압이 나오는 것을.. 2020. 2. 17. 이전 1 ··· 38 39 40 41 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