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율주행차 기술
1) 인지 : 센서 신호를 이용하여 주변의 동적객체들을 검출하고 객체들의 움직임과 의도를 알아내는 작업
2) 측위 : 주변의 정적 주행 환경을 파악하여 정밀지도를 기반으로 자율주행차의 위치를 추정하는 작업
3) 판단 : 인지와 측위 결과를 기반으로 경로 계획을 하고 장애물을 피하고 차로 변경 또는 유지 등의 상위 판단을 내리는 작업
4) 제어 : 판단의 결과에 따라 차량을 운전하는 작업
2. 자율주행 플랫폼
1) 자율주행차
- 센서 : 사람의 감각기관과 같음, 주변에 대한 정보를 받아들이는 기기
- GPS : 차량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기기, 정확한 측위는 불가
- 컴퓨팅 하드웨어 : 센서 및 차량 정보들을 받아 인지, 측위, 판단, 제어 기능을 수행
- 차량네트워크 : 차량 정보, GPS 신호, 센서 신호를 자율주행 컴퓨터로 전달하는 역할
2) 클라우드(중심에 있는 컴퓨팅 자원)
- 서버 :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데이터를 이용한 학습을 위한 컴퓨팅 자원 제공
- 대규모 데이터 저장 및 관리를 위한 디지털 저장공간 제공
- 정밀지도 관리 및 업데이트
3) 인프라(엣지) : 통신에서의 기지국, 따로 인프라에 설치해 놓은 서버, 차량 가까이에 있는 컴퓨팅 자원
- 사고 및 교통 상황 등 도로 상황 수집
- 자율주행차를 보조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하여 자율주행차에 전달
- 예) 사거리 건널목에서 사고 및 교통 상황을 수집하여 전달
4) 통신
- 차량 간 통신(V2V) : 도로 위의 차량끼리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한 통신
- 차량 인프라 간 통신(V2I) : 자율주행차가 인프라와 정보를 주고받음
퀴즈)
1. 다음 중에서 자율주행을 위해 필요한 기능이 아닌 것은? 답 3
1. 인지
2. 판단
3. 측정
4. 제어
2. 자율주행 시스템 구성 중에 판단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 답 3(인지기술)
1. 인지와 측위 결과를 기반으로 수행한다.
2. 경로를 계획하고 위험을 회피한다.
3. 동적 객체들을 검출하고 위치를 알아낸다.
4. 판단의 결과로 차량을 제어한다.
'전자공학 > 자율주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H-모빌리티 클래스 자율주행 공통 내용 정리] 6. 자율주행 기술의 요소 : 판단, 제어 (0) | 2022.02.17 |
---|---|
[H-모빌리티 클래스 자율주행 공통 내용 정리] 5. 자율주행 기술의 요소 : 센서, 인지, 측위 (0) | 2022.02.17 |
[H-모빌리티 클래스 자율주행 공통 내용 정리] 3. 자율주행 기술의 미래 발전방향 (0) | 2022.02.17 |
[H-모빌리티 클래스 자율주행 공통 내용 정리] 2.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현황 (0) | 2022.02.17 |
[H-모빌리티 클래스 자율주행 공통 내용 정리] 1. 자율주행 기술 5단계 개요 (0) | 2022.0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