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67 [H-모빌리티 클래스 자율주행 통신 및 네트워크 기초 내용 정리] 1. 차량용 통신 및 네트워크 개념, 2. 차량용 통신 및 네트워크 도입 배경 1. 차량용 통신 및 네트워크 개념 1. 차량용 통신 개념 1) 전자 통신의 구성 요소 : Transmitter(발신기), Receiver(수신자), Message(정보), Channel(매체), Noise(방해 요소) 2) 자동차에서의 통신 : 전자 제어 장치간에 정보를 교환하는 수단 3) 차량용 통신 - 차량용 통신 : 차량 내 수십 개의 제어기들이 서로 안정적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의미 - 차량용 통신 사용의 장점 : 신호선 단순화, 커넥터 소형화, 무게 절감을 하면서 융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 2. 차량용 네트워크 개념 1) 네트워크 : 통신을 이용해 각 단말 장치들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묶여있는 형태 2) Mesh Topology : 거미줄 모양.. 2022. 11. 9. [H 모빌리티 클래스] 라이브 심화 과정 및 최종 평가 후기 1. 중간 강의 평가 후기 H 모빌리티 클래스를 22년 상반기부터 수강하여 3~4개월정도 학습하였습니다. 인지, 판단, 제어, 통신 및 네트워크 분야를 들으면서 강의 양이 각 과목당 20~27개이고 내용이 꽤 많으므로 시험을 치르기 위해서는 필히 강의 내용을 정리해야만 했습니다. 따라서 각 강의마다 퀴즈 내용과 강의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인지, 판단, 제어, 통신 및 네트워크 과목을 들으면서 저는 개인적으로 인지부분이 제일 어려웠던 것 같습니다. 딥러닝쪽은 문외한이라 이해하기가 좀 어려웠던 것 같습니다. 반대로 제일 편하게 들었던 수업은 판단이었던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전체적으로 깊은 내용이 아니라 이런 기술이 있다 그러한 정도로만 강의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편하게 들을 수 있었습니다. 중간 1차 평가.. 2022. 6. 30. [H-모빌리티 클래스 자율주행 공통 내용 정리] 8. 자율주행 기술 인프라 : 데이터, 하드웨어 1. 자율주행 데이터 1) 자율주행을 위한 딥러닝 등의 머신러닝 기술은 대규모 학습 데이터 요구 - 차량 주행 시 취득한 데이터 이용 -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은 주행 데이터 활용 - 급속도로 증가하는 데이터에 대한 관리 필요 - 데이터에 정답을 붙여주는 라벨링 과정 필요 - 데이터 증가로 학습 모델이 개선될 때마다 주기적인 자율주행 기능 업데이트 필요 2)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수집, 가공, 학습 과정 - 테스트 차량 또는 자율주행차가 수집한 데이터를 클라우드로 전송 - 클라우드에서 가공 및 라벨링 과정 수행 : 데이터의 선별 필요 - 자율주행 기능의 학습(트레이닝) 수행 - 학습된 자율주행 기능의 테스트 및 검증 - 학습된 자율주행 기능을 OTA를 통해 탑재 -> 자율주행 기능의 업그레이드 완성 - O.. 2022. 2. 17. [H-모빌리티 클래스 자율주행 공통 내용 정리] 7. 자율주행 기술 인프라 : 통신, 고정밀 지도 1. 자율주행을 위한 인프라 1) 차세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C-ITS, Cooperative-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 자율주행 실현을 위해 자율주행차와 인프라 기술 간의 협력 필요 2. 자율주행을 위한 통신 1) V2X - 차량이 유,무선망을 통해 다른 차량 및 도로 등 인프라가 구축된 사물과 정보 교환 - 통신 표준 : IEEE 802.11p의 DSRC 방식과 이동통신방식 기반의 C-V2X 기술로 표준화 진행 중 -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위한 5.9GHz 주파수 대역 할당 2) V2V(차량 간 통신) - 차량간 실시간 정보 공유, 자율주행의 안전성 강화 및 충돌 방지 - 5G에서는 실시간 정보 교환을 위해 지연시간(latency) 목표를 10ms 이하로 함 .. 2022. 2. 17. 이전 1 2 3 4 5 ··· 42 다음